Intro. |
차세대 정보 소자의 궁극적인 목표는 정보의 저장 및 연산 등의 정보 처리 과정을 단일 전자, 광자, 스핀 등을 써서 이들의 양자역학적인 상태를 구현하고 이를 제어하는 양자정보소자 기술이 될 것이다. 물리적으로 영차원(양자점), 일차원(반도체 나노선), 또는 이차원(그래핀, 다이칼코게나이드 나노박막)의 특징을 갖는 나노구조체는 원자 수준의 결정 성장과 여러 물질들의 인위적인 조합 및 첨가 등을 통해 다양한 물성 구현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는다. 또한, 극저온에서 양자 구속(quantum confinement) 및 양자역학적인 위상 결맞음(phase coherence) 현상을 드러낸다는 점에서 저차원 양자계의 특징을 갖는다. 나노구조체가 갖는 중시계(mesoscopic system)적인 특성과 고유의 반도체 물성을 적절하게 결합시킴으로써, 실리콘 기술에 기반하고 있는 기존의 전자정보소자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차세대 정보 소자를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. 본 연구실은 반도체 나노선 및 그래핀 등으로 대변되는 나노구조체의 양자 전도 특성을 초전도체 또는 자성체의 응집 물성과 결합한 새로운 개념의 응집상 양자정보소자를 개발하는 것을 주요 연구 목표로 삼는다. |